꿀이 몸에 좋다는 것은 알겠는데 정확히 어떻게 좋은 걸까요? 과연 좋기만 할까요? 몰라도 될 전문적인 지식은 넣어두고 실생활에서 우리가 궁금한 질문들을 모아 모아 하나씩 정리해 봤습니다.
꿀! 과연 어디에 좋을까?
꿀의 효능
다이어트 효과
꿀은 다이어트 효과가 있습니다. 어쨌든 당분 이기 때문에 꿀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것 같지만 사실입니다. 꿀을 먹고 밥을 먹으면 포만감을 더 쉽게 느낄 수 있고 결론적으로 밥을 덜 먹게 됩니다. 또, 소화불량을 겪는 사람은 살이 찌기 좋은 조건에 있는데 꿀은 소화불량을 완화시켜 주고 몸속 독소와 체지방 제거에 도움을 준다고 하니 다이어트를 하신다면 유능한 에너지원인 꿀을 적당히 섭취 하는게 좋을 듯합니다. 그리고 출출한 밤에 꿀을 섭취해주면 배고픔이 줄어들면서 동시에 잠이 잘 들도록 해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의 최대의 적인 야식을 피할 수 있습니다.
※ 꿀 칼로리는?
꿀 = 100g 기준 304kcal
설탕 = 100g 기준 387kcal
면역력 강화
전염병이 문제가 되는 이런 때에 면역력은 가장 든든한 재산입니다. 꿀 속의 많은 미네랄 중 하나인 폴리페놀은 항산화, 항염, 항생, 항균 등의 작용을 하여 균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합니다. 동시에 균이 자라지 못할 정도의 산성도를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농도가 짙은 꿀은 균이 가진 물까지 빼앗아 자라지 못하게 합니다. 실제로 뚜껑만 잘 닫는다면 꿀단지 안에서는 균이 살아남기 힘듭니다.
피로 해소
피곤하거나 기력이 없을 때 피로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운동 전후로 섭취해 주면 몸상태가 올라오거나 운동 후의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올림픽 출전하는 선수에게 경기 전 꿀을 먹였다고 하죠.
숙면
불면증의 원인이 되는 각성 호르몬을 억제하고, 멜라토닌을 생성해서 숙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피부미용
비타민씨가 콜라겐 생성을 촉진해 피부를 깨끗하게 하고 세포를 파괴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해서 피부 노화를 막아 건강하게 유지합니다.
이 외의 효능들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서 혈관을 건강하게 하고 수족냉증 개선에도 효과적입니다. 거기다 숙취해소까지 도와준다고 하니 더워 자주 챙겨 먹어야겠어요.
어떻게 먹어야 잘 먹었다고 소문이 날까?
꿀 먹는 방법
꿀물은 꼭 미온수에 드세요
꿀물을 먹을 때 너무 뜨거운 물을 붓거나 꿀을 섞은 물을 가열하면 5 - 히드록시메 틸 푸르푸랄 독성 화합물이 생성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물의 온도를 사람 체온과 비슷하게 하거나 60° 정도로 먼저 끓인 다음 꿀을 섞어주세요.
아침 공복에 꿀 한 스푼
아침 공복에 꿀을 한 스푼 떠서 먹으면 신체 활기를 돕고 뇌를 활성화해 잠을 깨워줍니다. 그리고 먹은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해 준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우리 몸에 행복 물질인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라고 해요. 거기다 화장실도 잘 가게끔 도와준다고 하니까 여러모로 좋습니다.
잠들기 전에 한 스푼
꿀을 먹으면 멜라토닌 생성을 도와 수면의 질이 좋아진다고 하죠. 잠들기 전에 꿀을 한 스푼 먹으면 잠이 잘 오고 숙면을 취할 수 있습니다.
어머!? 이건 알아야 돼!
꿀 정보
금속 수저로 꿀을 퍼먹으면 안 된다?
결론 먼저 말씀드리면 금속 수저를 사용해도 됩니다. 안된다고 하는 사람들은 보통 두 가지 이유를 드는데
01. 항산화 물질이 금속의 산화를 막는데 쓰여 그 효과가 반감된다
02. 효소가 죽는다
일단 양봉을 하는 과정에서 벌통을 제외한 나머지 기구는 거의 금속 제품을 사용합니다. 소문과 같은 어떠한 연구 결과도 없고 논문을 찾아봐도 없습니다. 꿀은 당분과 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나머지 성분은 아주 극소량이기 때문에 금속에 어떤 반응을 할 것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효소 또한 굉장히 극소량 이기 때문에 있으나 없으나 한 정도라고 합니다. 꿀은 효소 때문에 챙겨 먹는 게 아니니 굳이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관련 연구 결과가 없다고 해도 생활 지식을 배제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나무 또는 플라스틱 수저가 있다면 사용하는 것이 속 편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는 금속 수저를 쓰고 있습니다.
임산부가 먹어도 될까요?
임산부는 먹어도 되지만 신생아는 안됩니다. 우리나라는 아니지만 일본에서 꿀을 먹은 신생아가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꿀은 멸균과정이 없기 때문에 유해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면역력이 없는 신생아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임산부에게는 면역력이 있고 태반에서 좋은 성분만 걸러서 아이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꿀 하루 권장량
10~15g
당뇨가 있는 사람이 먹어도 되나요?
꿀 은 갖가지 미네랄과 마그네슘 티아민 등 좋은 영양분이 많아 당뇨에서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꿀은 혈당량을 급격히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적정량을 섭취해 줘야 합니다. 천연 벌꿀을 하루 한 티스푼 정도 물에 타 먹는 것이 좋고 레몬과 함께 먹으면 혈당량을 조금 낮출 수 있다고 합니다.
부작용은 없을까요??
열이 많은 사람이 먹을 때는 설사와 함께 복통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젬 바둑 설치하기 (1) | 2024.12.18 |
---|---|
2025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3시간 무료 이벤트 PC방 찾는 방법 (4) | 2024.12.15 |
2025 국가장학금 1차 신청 대상자 150만명 570만원 이렇게 받으세요. (4) | 2024.12.14 |
나라일터 채용 공고 확인부터 지원까지, 단계별 가이드 (4) | 2024.12.13 |
KBS TV 수신료 안내는 방법 (TV 수신료 해지 및 환불 신청) (3) | 2024.12.12 |